LeetCode - Two Sum IV - Input is a BST

LeetCode(653) - Two Sum IV - Input is a BST 문제 Binary Search Tree의 root node 와 정수 k가 주어진다. BST정수 중 두 정수를 조합하여 k를 만들 수 있다면 true를, 아니라면 false를 반환하라. 입력 Input: root = [5,3,6,2,4,null,7], k = 9 출력 Output: true 풀이 set은 key의 유일성을 보장하며, 고유한 key 검색 시 O(1)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k - 특정 노드 값이면, 나머지 값에 대해 검색연산을 수행하여 값을 찾을 수 있다....

February 5, 2023 · 2 min · 230 words · Me

[Kubernetes Study] k8s objects - Pod

Pod? 앞선 Study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Kubernetes가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Pod입니다. 이 Pod는 Containerized 애플리케이션을 encapsulation한 단위입니다. 가장 작은 단위의 Kubernetes의 환경을 구성해보겠습니다. A Single cluster A Single node A single Pod A single instance in a Pod 사용자가 늘어나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instance를 증설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증설은 어떻게 할까요? Containerized 애플리케이션 instance를 Pod에 추가할까요? 앞서 설명했듯이 Kubernetes의 가장 작은 object 단위는 Pod이므로, Pod가 추가로 증설하여 추가되는 부하용량을 처리해야합니다....

January 29, 2023 · 4 min · 666 words · Me

[Kubernetes Study] k8s objects - Recap

Pod? 앞선 Study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Kubernetes가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Pod입니다. 이 Pod는 Containerized 애플리케이션을 encapsulation한 단위입니다. 가장 작은 단위의 Kubernetes의 환경을 구성해보겠습니다. A Single cluster A Single node A single Pod A single instance in a Pod 사용자가 늘어나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instance를 증설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증설은 어떻게 할까요? Containerized 애플리케이션 instance를 Pod에 추가할까요? 앞서 설명했듯이 Kubernetes의 가장 작은 object 단위는 Pod이므로, Pod가 추가로 증설하여 추가되는 부하용량을 처리해야합니다....

January 29, 2023 · 4 min · 666 words · Me

LeetCode 공부 - Distribute Candies

LeetCode(645) - Set Mismatch 문제 정수형 set이 배열형태로 주어진다. set은 1부터 set의 크기인 n까지 중복되지 않은 값으로 채워져 있어야 한다. nums에 하나의 정수가 다른 정수(1 <= 다른정수> <= n)로 바뀌었다. 이 중복된 수와 원래 있어야 할 수를 찾아 배열 형태로 반환하라. 입력 Input: nums = [1,2,2,4] 출력 Output: [2,3] 풀이 주어진 배열에 대해 중복을 찾아야 하고, 빠진 값 또한 찾아야 한다. 중복된 배열은 map으로 고유성을 찾고, 누락 된 값은 정렬 후 index와 값을 비교하여 다르다면 누락된 값으로 간주한다....

January 29, 2023 · 2 min · 234 words · Me

LeetCode 공부 - Distribute Candies

LeetCode(599) - Minimum Index Sum of Two Lists 문제 문자열 배열 list1과 list2가 주어진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는 문자열들을 반환하라. list1, list2모두에 존재하는 문자열 문자열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문자열 가장 낮은 index가 양쪽 배열 모두 동일하다면 두 문자열을 배열 형태로 반환. 입력 list1 = ["Shogun","Tapioca Express","Burger King","KFC"], list2 = ["Piatti","The Grill at Torrey Pines","Hungry Hunter Steakhouse","Shogun" 출력 Output: ["Shogun"] 풀이 문자열을 key로, index를 value로 하는 map에 list1의 문자열들을 삽입한다....

January 29, 2023 · 2 min · 246 words · Me